Re: 아파트 인테리어공사 용어 좀 알려주세요
올바른 우리말 건설용어집
\r\n\r\n
이 용어집은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가 외국어(외래어)에 오염된 건설현장에서의 우리말 사용을 정착시키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「건설용어 우리말 쓰기」운동의 일환으로 펴낸 것입니다.
\r\n\r\n
하루아침에 바뀔수는 없지만 우리말을 사용하는 날이 되길 바라면서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\r\n\r\n
일본말  | 우리말  | 해 설  | 
가 쿠 목  | 각목(角木)  | 
  | 
가 쿠 부 치  | 문틀선  | 문틀 옆면에 대어서 옆벽 미장 바름을 아무리고 장식하는 나무의 테  | 
가 쿠 자 이  | 각재(角材)  | 
  | 
가 네 가 타  | 금형, 쇠거푸집  | 
  | 
가 타  | 틀, 골  | 
  | 
가 타 키 리  | 외쪽깎기  | 횡단면에서 높은 사면(斜面)의 한쪽 부분을 깎는 것  | 
가 타 도 리  | 본뜨기  | 판을 대고 그 모양대로 사용 재료에 옮겨 그리는 것  | 
가 타 모 리  | 외쪽돋기  | 횡단면에서 한쪽부분만을 쌓는 것  | 
가타 아시 바  | 외줄비계  | 비계기둥이 한줄이고 비계띠장을 그 한쪽에만 단 비계  | 
가 타 와 쿠  | 거푸집  |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가설공작물의 총칭  | 
가타와쿠이타  | 거푸집널(판)  | 거푸집의 일부로서 직접 콘크리트에 접하는 널 또는 금속판  | 
가 타 이 타  | 본판  | 철재나 석재등을 정확하게 가공하기 위하여 소요(所要)의 형태로 \r\n본을 그린 널판  | 
가 도  | 모서리  | 
  | 
가 도 가 네  | 모서리쇠, 귓쇠  | 기둥, 벽모서리에 세워대어 회반죽 벽면(미장벽면)의 모서리가 상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철물  | 
가 라 네 리  | 건비빔, 건반죽  |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재료를 물을 넣기 전에 건조상태로 비비는 것  | 
가 라 도  | 양판문, 양널문  | 선대, 윗막이, 밑막이, 중간막이 등으로 울거미를 짜고 양판을 \r\n끼워넣은 문  | 
가 라 쓰 미  | 메쌓기(토),건성쌓기(건)  | 돌쌓기 등에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쓰지 않고 쌓는 것  | 
가 란  | 수도꼭지  | 
  | 
가리 가코이  | 임시울타리  | 공사현장에 임시로 설치하는 울타리  | 
가 리 고 야  | 헛간  | 공사기간중 공사현장에서 일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는 가설건물  | 
가리구미타테  | 임시조립  | 본조립에 앞서 철골 또는 목조의 구조물등을 현장 또는 공장에서 임시로 조립하는 것  | 
가 리 시 메  | 임시죄기  | 철골 부재를 조립할 때 임시로 죄는 것  | 
가리시메키리  | 임시물막이  | 수중에서 구조물을 축조할 때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\r\n설치하는 임시 공작물  | 
가리 지쿠 토  | 축도(築島), 임시섬  | 수중 기초공사에서 수중에 널말뚝을 둘러박고 그 속에 흙을 \r\n채워서 공사용 작업장을 만들거나 기타 방법 등으로 수중에 \r\n축도하여 공사용 발판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 | 
가 마 치  | 울거미, 문틀  | 문짝 등과 같이 짜서 만든 물건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뼈대  | 
\r\n
가 베  | 벽  | 
  | 
가부리 아쓰사  | 거죽두께, 덮임두께  |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철근표면에서 이것을 덮는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최단치수  | 
가사네 쓰기테  | 겹이음(토), 겹침  | 두 부재의 끝을 서로 겹치어 잇는 이음  | 
가 사 키  | 두겁대  | 널벽위에 가로대어 윗벽과의 아무림이 되는 가로재  | 
가 스 가 이  | 꺾쇠  | 목조건축에서 2개의 부재를 연결하여 쳐박아대는 양끝을 꼬부려 만든 보강 철물  | 
가 와 네 리  | 마른비빔, 건비빔  | 
  | 
가 와 스 나  | 강모래  | 하천에서 채취한 모래  | 
가 와 자 리  | 강자갈  | 하천에서 채취한 자갈  | 
가 이 단  | 층계, 계단  | 
  | 
가 쿠 부 치  | 창문선, 틀  | 
  | 
가 쿠 세 키  | 네모돌, 각석, 모돌  | 
  | 
가 쿠 자 이  | 각재, 모나무  | 
  | 
간 데 라  | 칸델라, 호롱불  | 
  | 
간 조  | 품삯,(노임)계산,셈  | 
  | 
갓 쇼  | ㅅ(시옷)자보  | 지붕트러스 부재중 人자형으로 마주치는 부재  | 
게 코 미  | 챌면, 챌판  | 계단의 수직부분인 앞면  | 
게 타  | 보(토목), 도리(건축)  | 
  | 
게 비 키  | 금긋개, 금쇠  | 일정한 폭을 마름질 하는데 쓰이는 공구  | 
게 아 게  | 단높이  | 계단의 한 디딤단의 높이  | 
게이 샤  | 경사, 물매  | 경사의 정도(割, 分, %, 분수 등으로 표시)  | 
겐 나 와  | 칸자  | 
  | 
겐 노  | 쇠메  | 쇠로된 큰 망치  | 
겐노 다타키  | 메다듬(기)  | 거친 돌면을 메로 쳐서 모양좋게 다듬는 일  | 
겐 바  | 현장  | 공사현장  | 
겐 바 우 치 \r\n콘크리트구이  | 현장콘크리트말뚝(토) \r\n제자리콘크리트말뚝(건)  | 소요 위치에 소정의 구멍을 뚫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만든 \r\n말뚝. 콘크리트말뚝=회말뚝  | 
\r\n
겐바 하이고  | 현장배합,현장섞기  | 시방배합에 맞도록 현장에서 재료의 상태와 계량방법에 따라 \r\n정한 섞기  | 
겐 슨 이 타  | 원척본판 \r\n(原尺本板)  | 복잡한 리벳구멍 위치를 잘 맞추기 위해 실물을 따로 만들어 \r\n그것에 꼭 맞게 구멍을 뚫게하는 본  | 
겐 슨 즈  | 원척도(原尺圖)  | 설계에 있어서 중요부분을 실제 크기대로 그린 그림, 원치수그림  | 
겐 치 이 시  | 송곳닛돌  | 채석장에서 네모뿔 형으로 만든 석축에 쓰이는 돌, 축댓돌  | 
겐 칸  | 현관(문간)  | 
  | 
겟 소쿠 센  | 묶음줄, 결속선  | 철근을 묶어 조립할 때 쓰는 철선  | 
고 구 치  | 마구리, 잔머리  | 벽돌의 각 면중 가장 작은 면  | 
고구치 쓰미  | 마구리 쌓기  | 벽표면에서 볼 때 벽돌 마구리가 보이게 쌓는 벽돌쌓기  | 
고 다타키  | 잔다듬(기)  | 날망치로 일정 방향으로 찍어 다듬는 돌표면 마무리  | 
고 테  | 흙손  | 
  | 
고 란  | 난간,난간끝,난간머리  | 계단이나 교량의 단부(端部)등에 설치된 공작물  | 
고 바 리  | 작은보  | 목조에서 바닥판, 장선 등을 직접 받게 되는 보. \r\n콘크리트 구조에서 큰보(girder) 사이에 걸리는 보  | 
고 바 이  | 기울기, 물매  | 수직을 기준한 경사의 정도  | 
고 부 다 시  | 혹두기  | 거친 돌면의 돌출된 부분을 쇠메로 대강 다듬은 돌  | 
고 야 구 미  | 지붕틀  | 지붕을 받는 뼈대를 구성하는 틀  | 
고 야 바 리  | 지붕보  | 왕대공 지붕틀의 하부에 있는 수평재  | 
교 시 타 이  | 공시체(供試體)  | 재질의 역학적인 시험을 하기 위하여 일정한 규격에 따라 만들어진 시험재료  | 
구 게 키  | 빈틈  | 
  | 
구 로  | 검정  | 
  | 
구 루 마  | 수레, 바퀴  | 
  | 
구 리 이 시  | 막돌, 호박돌  | 
  | 
구 미 타 테  | 조립(組立)짜기,짜맞추기  | 공장이나 현장에서 설계도에 따라 부재나 재편을 이어 맞추는 작업  | 
구미타테 아시바  | 틀비계  | 일정한 형상으로 꾸며진 강관제의 부재를 써서 짜 맞추어 세우는 비계  | 
구 사 비  | 쐐기  | 한끝은 얇고 다른 끝은 두껍게 하여 좁은 틈서리에 박아 빠지지 \r\n않도록 한 나무쪽  | 
\r\n
구 이  | 말뚝  | 
  | 
구 이 우 치  | 말뚝박기  | 
  | 
구 칸 쓰 미  | 공간 쌓기  | 벽돌, 블록벽, 석조벽 등 이중으로 하고 중간을 떼어 쌓는 법  | 
구 기  | 못  | 
  | 
기 가 타  | 나무틀  | 
  | 
기 고 테  | 나무흙손  | 
  | 
기 카이 네리  | 기계비빔,틀반죽  | 믹서를 사용하여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비비는 일  | 
기 도 리  | 마름질,나무마름질  | 재료를 소요의 크기에 맞게 자르거나 오려내는 것  | 
기 렛 파 시  | 동강(나무), \r\n끄트러기, 자투리  | 
  | 
기 레 쓰  | 균열, 갈림  | 
  | 
기 리  | 송곳  | 
  | 
기 리 바 리  | 버팀대  | 띳장 등을 버티는 부재  | 
기 리 이 시  | 바룸돌, 다듬은돌  | 석재의 표면을 다듬어서 정확한 치수와 일정한 형태로 만든 것  | 
기 리 카 에  | 바꾸기  | 
  | 
기 리 코 미  | 막자갈  | 채취한 것을 체로 치지 않은 모래가 섞인 그대로의 자갈  | 
기 리 토 리  | 흙깎기  | 
  | 
기 소  | 기초  | 상부구조로 부터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하부구조의 총칭  | 
기소 콘쿠리  | 기초콘크리트  | 구조물의 기초 콘크리트  | 
기 즈 리  | 졸대, 나무오리  | 얇고 좁게 오리어 벽, 천장등에 박아대는 나무오리  | 
긴 케쓰 자이  | 죌감  | 거푸집이 변형되지 않게 연결 고정하는 철선, 꺾쇠, 볼트 등의 총칭  | 
긴 초 키  | 죄개  | 거푸집 조립에 소철선(燒鐵線)을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\r\n꽉 죄는 철물  | 
나가테 쓰미  | 길이쌓기  | 벽돌 벽체의 치장면(겉면)에 벽돌 길이 면이 계속하여 보이게 쌓는 것  | 
나 라 시  | 고르기  | 바닥을 평평하게 고르는 것  | 
나미날 합판  | 적층합판(積層合板)  | 
  | 
\r\n
나 와 바 리  | 줄치기, 줄쳐보기  | 건축배치도에 따라 필요한 곳에 작은 말뚝을 박고 줄을 쳐서 건물 각 부처의 위치를 실제로 지면에 옮겨보는 일  | 
나 이 칸  | 내관  | 
  | 
나 카 누 리  | 재벌칠  | 칠공사에 있어서 초벌칠과 정벌칠 사이에 하는 칠공정  | 
재벌바름  | 미장공사에 있어서 초벌바름과 정벌바름 사이에 하는 바름공정  | |
낫 토  | 너트, 암나사  | 
  | 
네 코  | 굄재(chair), 굄감  |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 있어서 수평철근과 거푸집 널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끼우는 토막  | 
네 다  | 장선(長線), 받침목  | 멍에 또는 보위에 직각으로 건너대어 마루를 받는 가로재  | 
네리카에시  | 되비비기  |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응결을 시작하였을 경우에 다시 비비는 것  | 
네리나오시  | 거듭비비기 \r\n다시비비기  |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아직 응결을 시작하지는 않았으나 비빈후에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였거나 또는 재료가 분리한 경우에 다시 \r\n비비는 것  | 
네 리 쓰 미  | 찰 쌓 기(토) \r\n사춤쌓기(건)  | 돌쌓기 등에 있어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채워가며 쌓는 공법  | 
네 이시  | 밑돌  | 석축의 가장 밑부분에 두는 돌  | 
네 지  | 나사  | 
  | 
네지마와시  | 나사돌리개(드라이버)  | 
  | 
넨 도  | 찰흙, 진흙, 점토(粘土)  | 
  | 
노 리  | 비탈  | 절토나 성토의 사면(鈄面)  | 
노 리 비 키  | 시멘트풀칠  | 시멘트 풀을 솔 또는 헝겊으로 바르는 미장 마무리  | 
노 리 지 리  | 비탈끝  | 비탈면과 그 하방(下方)에 있는 수평지반 면과의 교차하는 부분  | 
노 미  | 정, 끌  | 목재나 석재등을 가공하는 공구  | 
노 미 키 리  | 정 다듬(기)  | 정으로 쪼아 다듬는 표면 마무리 작업  | 
노 바 시  | 늘이기  | 
  | 
노보리 산바시  | 비계다리  | 재료의 운반 작업 등을 하기 위하여 사람이 오르내릴 수 있도록 비계에 경사지게 설치하는 가설물  | 
노 부 치  | 반자틀, 반잣대  | 천장을 막아 반자 널이나 판을 붙이는 틀  | 
노 즈 라  | 거친면, 채석면  | 채석장에서 채취한 그대로의 돌표면  | 
노 지 이 타  | 지붕(바탕)널  | 지붕이나 서까래 위를 덮는 널  | 
\r\n
노 키  | 처마  | 지붕이 처마도리 밖으로 내민 부분  | 
노 키 게 타  | 처마도리  | 변두리 벽위에 걸어 서까래를 받는 도리  | 
노 키 다 카  | 처마높이  | 지표면에서 건축물의 지붕틀 또는 이와 유사한 횡가재를 지지하는 벽, 깔도리 또는 기둥의 상단까지의 높이  | 
노 키 덴 조  | 처마반자  | 처마 밑에 수평 또는 경사면으로 만든 천장  | 
노 키 도 이  | 처마홈통  | 처마 끝에 수평으로 설치한 홈통  | 
누 노 기 소  | 줄기초  | 기둥, 조적조의 벽체 등의 밑에 띠형으로 만든 연속된 기초  | 
누노 마루타  | 비계띠장  | 비계기둥에 건너 지르는 통나무  | 
누 노 보 리  | 줄기초 파기  | 기초를 길게 도랑모양으로 파는 것  | 
누 리 카 에  | 재칠  | 낡은 칠면에 새칠을 하는 것  | 
니 마 이  | 두장(쌓기)  | 
  | 
니 즈 쿠 리  | 짐꾸리기  | 
  | 
다 가 네  | 정, 강철끌  | 
  | 
다 나  | 선반, 시렁  | 
  | 
다 루 키  | 서까래  | 지붕 경사에 따라 도리에서 처마끝까지 건너지른 나무  | 
다 마 이 시  | 호박돌  | 호박형의 천연석으로서 가공하지 않은 지름 18㎝이상 크기의 돌  | 
다 이  | 받침대  | 물건을 받치거나 올려놓는 물건의 총칭  | 
다 테  | 세로  | 
  | 
다 테 구  | 창호(窓戶), 창문  | 창문의 총칭  | 
다테구 카나모노  | 창호 철물  | 창호를 달거나 장식으로 쓰이는 철물의 총칭  | 
다 테 도 이  | 선홈통  | 처마 홈통 등에서 깔때기 홈통을 거쳐 세로 내려온 수직 홈통  | 
다 테 마 에  | 세우기  | 기둥등의 수직부재를 제자리에 일으켜 세워짜는 일  | 
다 테 메 지  | 세로 줄눈,세로사춤  | 돌, 벽돌, 블록 등을 조적할 때 연직 방향으로 생기는 줄눈  | 
\r\n
다 테 와 쿠  | 선틀  | 창문틀의 양옆에 또는 중간에 세워대는 부재  | 
단 카  | 들것  | 
  | 
단 고 오  | 담합, 짬짜미  | 
  | 
단 도리  | 채비, 준비  | 공사를 원활하게 착수하기 위하여 사전에 준비계획을 세워 수배하는 것  | 
닷 파  | 높이  | 최상부, 상부, 처마높이, 계단높이 혹은 건물 최고부까지의 높이를 말함  | 
데 코 보 코  | 요철, 울퉁불퉁  | 올록볼록  | 
데 코  | 지렛대  | 
  | 
데 나 오 시  | 재손질  | 시방서와 같지 않은 불충분한 곳이가 있는 경우 부분적으로 다시 수정을 하는 것  | 
데 네 리  | 손비비기  | 모르타르, 콘크리트등을 비비는 것  | 
데 마  | 품(삯)  | 어떤 일을 하기위해 소비되는 노력 또는 시간  | 
데 마 치  | 기다림  | 자재의 반입이나 준비계획을 결정하여 수배하는 경우에 작업을 진행할 수 없어 노동력 혹은 일을 중지시키고 있는 상태  | 
데 마 친  | 품삯  | 기능공의 품에 대하여 지불되는 품값  | 
데 모 토  | 곁꾼  | 숙련공을 도와서 그의 지시를 받아 작업에 협력하는 인부, 허드레꾼  | 
데 스 리  | 난간  | 보행자의 추락의 위험을 방지하는 울타리 형상의 것  | 
데쓰 마쿠라기  | 쇠침목  | 강철 또는 주철제 침목  | 
데 즈 라  | 출역(出役)  | 현장 작업을 하기 위해 현장에 나온 목수. 미장공, 인부 기타 공종 직종별 노동자의 인수  | 
덴 바  | 윗면, 꼭대기  | 물건이나 부재의 윗면  | 
덴 자이  | 채움재, 채움감  | 빈틈을 채우는 미세한 재료  | 
덴 죠  | 천장  | 바닥에 상대적으로 대응하는 부위로서 지붕밑, 위층의 바닥 밑을 지칭함  | 
뎃 킨  | 철근  | 
  | 
뎃 판  | 철판  | 
  | 
도 가 타 \r\n(노 가 타)  | (건설현장근로자)  | 막일꾼, 인부  | 
도 구 루  | 문바퀴  | 미서기 미닫이 등의 창문 밑막이에 대어 문이 레일 위를 구르게 하는 바퀴모양의 창호철물  | 
도 기 다 시  | 갈아내기, 갈기  | 석재, 인조석등의 표면을 숫돌 등으로 갈아 마무리 하는 것  | 
도 노 코  | 토분  | 진흙을 물에 풀어서 그중 부드러운 것만을 채취하여 말린 흙가루. 나무결의 눈먹임, 틈서리 땜질 등에 씀  | 
\r\n
도노코 즈리  | 토분먹임  | 토분을 물에 풀어 나무결, 갈래틈 등에 문질러 칠하는 땜질  | 
도 탄  | 함석(판)  | 철판에 아연으로 도금한 얇은 판  | 
도 도 리  | 흙뜨기  | 
  | 
도 도 리 바  | 흙밭  | 흙을 채취하는 곳  | 
도 도 메  | 흙막이  | 흙이 무너지거나 흘러내림을 막는 공작물  | 
도 라 푸  | 냄새막이관 \r\n트랩(trap)  | 냉동 공조기기, 위생기구 등의 배수관 도중에 설치하여 하수내의 악취가 실내에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것(S트랩,P트랩,U트랩 등)  | 
도롯푸 한마 \r\n(드랩해머)  | 떨공이(drop hammer)  | 말뚝박기에서 메의 자연 낙하력을 이용하여 말뚝을 박는 메  | 
도 마  | 다짐바닥, 토방  | 흙, 강회반죽, 콘크리트 등을 다져 평평하게 만든 바닥  | 
도 비  | 비계공  | 높은 곳에서 비계의 설치 및 해체 또는 중량물 작업을 하는 기능공  | 
도 샤  | 토사(土砂), 흙모래  | 흙과 모래  | 
도 와 쿠  | 문틀  | 문짝을 달고 여닫을 수 있게 주위에 짜댄 틀  | 
도 이  | 홈통  | 지붕의 물을 받아내리기 위하여 설치하는 관  | 
도 칸(노칸)  | 토관(土管), 흙대롱  | 
  | 
도 탄  | 함석, 아연철판  | 
  | 
란 마  | 웃창  | 창문 위쪽에 달은 창  | 
란 쓰 미  | 막쌓기, 허튼쌓기  | 일정한 수평, 수직 줄 눈을 두지 않고 쌓은 돌쌓기의 한방식  | 
렌 가  | 벽돌  | 
  | 
렌 가 와 리  | 벽돌나누기  | 시공에 앞서 벽돌의 배치를 하여 보는 것, 벽돌벼름  | 
렌 가 쓰 미  | 벽돌쌓기  | 벽돌을 시멘트 모르터 또는 회백토 반죽등으로 쌓아서 벽체를 \r\n꾸미는 일  | 
류 베  | 입방미터(㎥)  | 세제곱미터  | 
말 구  | 끝마구리  | 끝굵기  | 
마 쿠 라 기  | 받침목, 침목(枕木)  | 레일을 체결하여 궤간을 확보하고 열차 하중을 도상에 널리 분포시킬 목적으로 쓰이는 재  | 
마 구 사  | 테두리보, 윗인방  | 벽 위쪽이나 창문 위쪽에 있는 인방  | 
마 도  | 창(窓)  | 환기나 채광을 하기 위하여 벽면 등에 설치하고 여닫게 된 구조물  | 
\r\n
마 도 다 이  | 창대  | 창밑에 돌 또는 벽돌을 열세워 쌓거나 모르타르로 발라 만든 것  | 
마 도 와 쿠  | 창틀  | 창문을 다는 갓 둘레의 뼈대  | 
마 루 타  | 통나무  | 둥근 원목  | 
마루타 아시바  | 통나무 비계  | 통나무로 만든 비계  | 
마 에 가 리  | 우선지급  | 
  | 
마 지 키 리  | 칸막이  | 큰방을 나누어 쓰기 위해 중간에 친 벽, 칸막이 벽  | 
마 키  | 말이, 사리  | 마키가미=두루말이  | 
마 키 자 쿠  | 줄자  | 
  | 
마 키 카 에  | 갈아감기  | 
  | 
메 도 메  | 눈먹임  | 나무결을 메우고 미끈한 칠바탕을 만드는 것  | 
메 모 리  | 눈금  | 저울, 자, 온도계 따위에 표시된 눈금  | 
메쓰부시 자리  | 틈막이 자갈  | 기초나 바닥에 깔아놓은 잡석 다짐의 틈새에 끼워 넣는 자갈  | 
메 지  | 줄눈, 사춤  | 석재, 벽돌, 콘크리트 포장판 등의 이음부  | 
메 지 고 테  | 줄눈 흙손,사춤인두  | 타일, 벽돌, 블록, 석재등의 줄눈에 줄눈재를 채워 넣는데 사용하는 폭이 좁은 흙손  | 
메 지 보 리  | 줄눈파기,사춤파기  | 치장 줄눈을 만들기 위하여 깊이 8mm 정도 모르타르를 파내는 것  | 
메 지 보  | 줄눈대,사춤대  | 테라조, 인조석 등의 신축 균열방지 및 의장효과를 위해 구획하는 줄눈에 넣는 철물  | 
메 지 와 리  | 줄눈나누기  | 줄눈의 배치 위치를 잘맞게 나누어 보는 것, 사춤벼르기  | 
메 치 가 이  | 턱솔  | 석재나 목재를 연결시킬 때 이을 곳을 도려내고 합한자리  | 
메쿠라 안쿄  | 자갈수멍  | 지하수의 집배수를 위하여 모래, 자갈, 호박돌 등을 땅속에 매설한 일종의 수로. 암거=수멍  | 
멘 도 리  | 모접기  | 석재, 목재등의 모서리를 깎아 좁은 면을 내거나 둥글게 하는 것  | 
멧 키  | 도금, 올림, 입힘  | 
  | 
모 구 리  | 잠수부(潛水夫)  | 
  | 
모 리 쓰 치  | 흙쌓기, 흙돋우기  | 다른 곳에서 채취한 토사를 현 지반위에 쌓아 올리는 것  | 
모 야  | 중도리  | 서까래 지붕널 등을 받치는 가로재  | 
\r\n
모 쿠 네 지  | 나사못  | 목구조의 접합부에 쓰는 나사가 있는 못  | 
모 쿠 렌 가  | 나무벽돌  | 나무로 벽돌 모양의 토막을 만든 것. 방부제를 칠하여 벽돌벽에 넣고 쌓아서 목부연결의 못 받이로 씀  | 
무라 나오시  | 고름질  | 바름 두께 또는 마감두께가 고르지 않거나 요철이 심할 때 초벌바름위에 발라 면을 바르게 고르는 공정 또는 바름층  | 
무 라 도 리  | 얼룩빼기  | 
  | 
문 하 시 라  | 대문기둥  | 
  | 
미다시콘쿠리  | 치장 콘크리트  | 노출되는 콘크리트면 자체가 치장이 되게 마무리한 콘크리트  | 
미 쓰모리  | 견적(見積), 어림셈  | 도급할 수 있는 공사금액을 산출하는 것  | 
미 즈 카 에  | 물푸기  | 기초공사에서 수중시공을 피하기 위하여 물을 퍼내는 작업  | 
미 즈 누 키  | 수평 띠장  | 규준틀 말뚝에 수평으로 건너대는 띠장  | 
미 즈 네 리  | 물비빔, 물반죽  |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을 물을 넣어 비비는 것  | 
미 즈 모 리  | 수평보기  | 건축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수평면을 정하는 것  | 
미즈 미가키  | 물갈기  | 석재의 표면에 물을 주면서 매끈하게 갈아 마무리 하는 것  | 
미 즈 시 메  | 물다짐  | 물을 뿌려 주면서 토사를 다지는 것  | 
미 즈 키 리  | 물끊기  | 물이 면을 따라 스며들거나 그 하부벽체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창대돌, 돌림띠, 캐노피 등의 밑면 끝 부분에 파두는 홈  | 
바 타 카  | 작은각목  | 거푸집 공사에서 거푸집을 지지하는 10㎝角 정도의 각재  | 
바 라 시  | 뜯기, 해체  | 
  | 
바 루  | 노루발 장도리, 쇠지레  | 
  | 
반 네 루  | 판때기, 패널  | 
  | 
반 센  | 굵은철선/쇠줄  | 가설공사 등에 사용하는 철선  | 
뼁 끼  | 페인트, 칠, 양칠  | 
  | 
보 루 반  | 틀송곳  | 
  | 
뵤 코  | 리벳구멍  | 리벳치기를 위하여 강재에 뚫은 구멍. 버섯못구멍  | 
뵤 우 치  | 리벳치기,버섯못치기  | 리벳을 구멍에 끼우고 소정의 리벳머리를 만들어 내어 조이는 것  | 
\r\n
부 가카리  | 품셈  | 단위공종당 소요로 하는 노력과 재료를 수량으로 표시하는 것  | 
사 게 후 리  | 다림추  | 
  | 
사 칸  | 미장이  | 미장 바름재(진흙, 회삼물, 모르타르 등)를 벽, 천장, 바닥 등 바탕면에 바르는 사람  | 
사 비 도 메  | 녹막이  | 금속에 녹이 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  | 
사비도메누리  | 녹막이 칠  | 철재등에 녹슬지 않게 녹막이 도료를 칠하는 것  |